중국 경제 굴기(崛起)가 지난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30년간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면서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중 수교 29주년을 맞아 이런 내용을 담은 지난 30년간 한·중 경제 및 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중국은 국내총생산(GDP), 수출입 교역량, 국가 경쟁력, 제조업 및 기업 경쟁력 등의 측면에서 한국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명목 GDP에서 한국은 1992년 3560억달러에서 2020년 1조6310억 달러로 약 4.6배 성장한 반면, 같은 기간 중국은 4920억달러에서 2020년 14조7230억 달러로 약 29.9배 폭증했다. 이에 따라 한중 간 명목 GDP 격차는 1992년 1.4배에서 2020년 9배로 크게 벌어졌다.
23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중 수교 29주년을 맞아 지난 30년간 한·중 경제 및 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김치원 기자)명목 1인당 GDP도 한국이 1992년 8126달러에서 2020년 3만1497달러로 약 3.9배 증가한 반면 중국은 420달러에서 2020년 1만484달러로 약 25.0배 증가했다. 1992년에 중국의 명목 1인당 GDP는 한국의 5.2% 수준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33.3% 수준까지 크게 추격했다.
해외부문 지표에서 중국의 교역·투자성장률은 한국을 크게 추월했다. 우선 한국의 수출액은 1992년 770억달러에서 2020년 5130억달러로 6.7배 성장한 반면, 중국은 1992년 860억달러에서 2020년 5조5980억 달러로 65.1배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 결과 거시경제,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를 분석해 국가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순위를 살펴보면 1994년 한국은 32위, 중국은 34위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올해 순위를 살펴보면 중국이 16위, 한국이 23위로 중국이 한국을 추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