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가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반면,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참여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해 의료계 내 의견 차이가 드러났다.
이진우 대한의학회장 [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에 따르면, 22일 대한의학회와 의대협회는 공동 입장문을 통해 "전문가 단체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정부의 일방적 정책 추진에 반대하면서도, 국민과 환자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협의체 참여를 결정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 단체는 협의체에서 논의해야 할 주요 현안으로 의대생들의 휴학계 허가, 의사 정원 추계 기구의 입법화 계획 수립, 전공의 수련 기관의 자율성 보장,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독립성 등을 제시했다.
또한,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의료계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특위의 개편을 통한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책 결정 과정을 촉구했다.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은 "전공의나 의대생들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많이 지나기 전에 협의체를 통해 정책 논의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협의체에서 논의를 통해 의료계가 원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려는 목표를 강조했다.
반면, 의협은 협의체 참여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의협 관계자는 협의체 참여 여부에 대해 "못 들어간다"고 짧게 답하며 불참 의사를 확고히 했다.
한편, 의학회와 KAMC의 협의체 참여 결정에 대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동참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날 대한의학회 등의 결정에 대해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의료계의 결단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정부는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으나, 의사단체의 협의체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대한의학회는 이번 주 내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과 관련한 실무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진우 회장은 "전쟁 중에도 대화는 필요하다"며, 이번 결정이 의정 갈등 해결의 한 걸음이 되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