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대표 최수연)는 12월 3일 '2024 널리 웨비나'를 열고, 포용적 AI 기술의 중요성과 접근성 개선 사례를 공유했다.
3일 개최된 `2024 널리 웨비나`에서 발표를 진행하는 네이버클라우드 AI Lab 김영호 리더
이번 웨비나는 'AI 접근성을 통한 사람 중심의 디지털 포용'을 주제로, IT 업계와 학계 전문가, UN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Accessibility is a Human right(접근성은 인권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네이버를 비롯한 ▲구글 ▲엔비전스 ▲N Tech Service ▲이화여자대학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등 주요 기관이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기술·제도적 접근 방안을 발표했다.
네이버클라우드 AI Lab 김영호 리더는 자폐 아동과 부모를 돕는 'AACessTalk' 프로그램을 사례로, AI 기반 포용적 기술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술 변화 속에서도 소외되지 않는 디지털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는 웹툰에 음성 AI 기술을 접목한 연구를,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의 접근성 기능을, N Tech Service는 접근성 진단 솔루션을 각각 소개했다. 국제사회 동향도 다뤄졌으며, UN SDGs와 ITU 가이드라인 등 글로벌 협력의 필요성이 언급됐다.
네이버는 접근성 고객센터 운영, 가이드 제공, 교육 등을 통해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웨비나 자료는 '널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