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10일 제5차 지표금리·단기금융시장 협의회에서 2025년부터 파생상품시장의 무위험지표금리(KOFR) 확산을 본격 추진하는 '2025년 지표금리 개혁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거래소 등 관계기관 및 학계·시장전문가들과 함께 개최한 '제5차 지표금리·단기금융 시장협의회'에서 2025년 지표금리 개혁 추진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금융당국은 2025년 7월부터 이자율스왑 거래의 KOFR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먼저 연간 거래금액이 25조원 이상인 약 29개 금융회사가 이자율스왑 신규 거래의 10% 이상을 KOFR 기반으로 체결하며, 이 비중은 매년 10%p씩 증가해 2030년에는 50%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정책금융기관인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과 시중은행들은 2025년부터 변동금리채권 발행액의 10% 이상을 KOFR 기반으로 조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연간 KOFR 기반 채권 발행액은 내년 3조원에서 중장기적으로 4~5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거래소는 2025년 10월부터 KOFR 이자율스왑에 대한 중앙청산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중앙청산소가 모든 거래 참여자의 상대방이 되어 거래를 인수하고 결제 이행을 보장함으로써, 거래 위험을 낮추고 결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는 것은 금융시스템의 운영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라며 "이번 계획을 바탕으로 KOFR 중심의 지표금리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는 "KOFR 활성화는 통화정책 유효성 제고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가 크다"며 "금융시장 참가자들과 함께 속도감 있게 진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