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10일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으로 교육격차 해소'를 목표로 하는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는 출발선 평등, 사교육·입시 부담 완화, 맞춤형 지원 강화, 지역 격차 해소, 청년 성장 지원을 5대 정책방향으로 설정했다.
2025년 교육계 신년교례회
교육부는 먼저 유보통합 실행을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4세 유아까지 교육비·보육료 월 5만원을 추가 지원하는 등 3~5세 단계적 무상교육·보육을 확대한다. 또한 거점형 돌봄기관 약 50개원을 지정·운영하여 돌봄 공백 해소에 나선다.
초등돌봄 강화를 위해 늘봄학교 지원 대상을 초등학교 2학년까지 확대한다. 교육청·지자체·지역대학과 협력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전담인력 확충으로 운영체제를 안정화할 계획이다.
고교교육 혁신과 관련해서는 3월부터 모든 고등학교 1학년에 고교학점제를 전면 도입하고, 내신체계를 9등급에서 5등급으로 개편해 과잉경쟁을 해소한다. 또한 지방 소도시에 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를 시범 운영하고,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해 맞춤형 교육을 강화한다.
학생 맞춤형 지원도 확대된다.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를 통해 학생별 어려움을 조기 발견하고 맞춤 지원하며, 이주배경학생·장애학생·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교육급여는 전년 대비 5% 인상하고, 꿈사다리 장학금 지원 대상을 초등학교 5학년까지 확대한다.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56건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전국 17개 시도에서 라이즈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약 2조원의 국비와 지방비를 투입해 지역-대학 동반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청년 지원과 관련해서는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을 9구간 이하로 확대해 약 150만명이 혜택을 받게 되며, 저소득층 대학생을 위한 연 240만원의 주거안정장학금도 신설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으로 교육이 기회의 사다리가 되도록 하고, 교육 현장의 긍정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