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1월 14일부터 1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 지지도가 39%, 더불어민주당이 36%를 기록하며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의 양당 간 접전 구도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김수한 전 국회의장 영결식에 참석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원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힘은 39%, 더불어민주당은 36%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2%, 진보당과 기타 정당이 각 1%를 기록했다. 지지정당이 없다는 무당층은 17%로 집계됐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직후 더불어민주당 지지도가 현 정부 출범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며 격차를 벌렸으나, 한 달 만에 양당 지지율이 다시 접근했다.
성향별로는 보수층의 79%가 국민의힘을, 진보층의 72%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중도층에서는 더불어민주당(37%)이 국민의힘(28%)보다 우세했으며,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도 25%를 차지했다.
정당 지지도 '국힘 39% vs 민주 36%'...탄핵 이전 구도로 회귀
장래 정치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1%로 가장 높았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7%, 홍준표 대구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각각 6%를 기록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4%,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2%,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각각 1%의 지지를 받았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찬반 조사에서는 찬성이 57%, 반대가 36%로 나타났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찬성이 7%포인트 감소하고 반대가 4%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20~40대의 탄핵 찬성률이 70%대에서 60%대로 하락했으며, 보수층의 반대 비율은 64%에서 73%로 증가했다.
다음 대선 결과에 대한 기대 조사에서는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48%로,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40%)을 앞섰다. 특히 중도층(56%)과 무당층(42%)에서 정권 교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이동통신 3사의 무작위 추출 번호를 통해 전화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3%,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