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1월 14일부터 1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향후 1년간 국내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54%로 여전히 높았으나, 정치적 불확실성의 단계적 해소 기대감으로 전월 대비 비관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1년간 우리나라 경제 나빠질 것 54%, 좋아질 것 17%, 비슷할 것 22%
이번 조사에서 향후 1년간 우리나라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54%,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17%,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22%로 집계됐다. 작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일시적으로 호전됐던 체감 경기는 이후 다시 악화되어 제자리걸음을 보이고 있다.
성향별로는 전반적으로 경기 비관론이 감소했다. 보수층의 낙관-비관 격차는 12월 -40에서 1월 -29로, 중도층은 -55에서 -48로, 진보층은 -41에서 -33으로 각각 개선됐다. 이는 정치적 불확실성의 단계적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개인 살림살이 전망에서는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53%로 가장 많았고, '나빠질 것' 28%, '좋아질 것' 16% 순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생활수준별로는 상/중상층(+0)과 하층(-35) 간 전망 격차가 뚜렷했다.
향후 1년간 국제분쟁 전망에 대해서는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48%로 가장 많았고, '감소할 것' 15%, '비슷할 것' 26%로 조사됐다. 국제관계 비관론은 작년 10월 3년 내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다소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미국 대선 결과와 금융시장의 변동성 적응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6.3%,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