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가 도로 설계 단계부터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가 도로 설계 단계부터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양 기관은 도로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여 도로 정체 및 안전성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향후 착수하는 모든 고속도로 설계에 개선 방안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주요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 기본설계 단계부터 교통 가치 공학(VE) 절차를 신설하여 교통 및 안전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도로 노선 선형과 용량을 결정한다.
또한, 주말 교통량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설계에 반영하고, 도로 건설 이후 조성되는 개발 계획을 설계 단계에 선제적으로 반영하여 수요 예측의 현실성을 높인다.
나들목 등 혼잡 구간에 대해서는 교통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예측성을 높이는 등 도로 설계 단계부터 교통 혼잡과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국토교통부 이우제 도로국장은 "교통 정체와 도로 주행의 위험 요소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로 건설의 시작인 설계 단계에서부터 도로의 용량과 선형 등을 보다 꼼꼼하게 디자인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관련 전문가들과 기업인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도로의 이용성 개선 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보다 나은 교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