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18일 발표한 '2024년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공연시장 관람권 총판매액이 1조 4,53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
2024년 공연 건수는 2만 1,634건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으며, 공연 회차는 12만 5,224회로 7.4%, 총 관람권 예매 수는 2,224만 매로 6.1% 늘었다. 평균 관람권 판매가는 전년보다 5천 원가량 상승한 1매당 약 6만 5천 원을 기록했다.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인 분야는 대중음악이다. 1만 석 이상 초대형 공연과 전국 순회공연, 세계적 가수들의 내한 공연이 잇따르며 관람권 판매액이 전년 대비 31.3% 증가한 7,569억 원을 기록했다. 공연 건수와 관람권 예매 수도 각각 9.8%, 22.2% 증가했다.
연극 분야도 주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다. 방송과 영화에서 활약하던 배우들의 무대 복귀가 이어지며 전년 대비 공연 건수 7.5%, 관람권 판매액 16.5%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뮤지컬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2023년과 비교해 공연 건수와 관람권 예매 수가 소폭 감소했으나, 전체 관람권 판매액은 1.3% 상승한 4,651억 원을 기록했다.
공연계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여전했다. 서울·경기·인천 지역이 전국 관람권 예매 수의 75.3%, 판매액의 79.1%를 차지했다. 다만 서울의 비중은 68%에서 65.1%로 감소한 반면, 경기는 6.4%에서 8.7%, 인천은 3%에서 5.2%로 증가해 수도권 내 분산 경향을 보였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과 대구가 각각 1,311건, 1,279건으로 가장 많은 공연을 개최했다. 특히 충북은 도립극단 창단 효과로 연극 분야가 급성장해 관람권 예매 수가 7,018매에서 1만 6,140매로, 판매액은 1억 2천만 원에서 5억 3천만 원으로 증가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지역대표예술단체 지원사업을 통한 실질적 지원을 이어가고, 국립예술기관의 서비스를 지역으로 확대해 전국에서 다양하고 우수한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