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난해 1월부터 시행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1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민원 발생 건수 감소, 교통사고 감소, 운행 횟수 및 막차 시간 준수율 향상 등 시내버스 서비스 전반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지난해 1월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1년간 시행한 결과, 민원과 교통사고 건수가 감소하고 운행횟수와 막차시간 준수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공공관리제 시행 1년 동안 315개 노선 2,142대를 대상으로 시내버스 민원, 교통사고, 운행 횟수 준수율 등을 평가한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접수된 시내버스 민원 건수는 2023년 1,895건에서 2024년 1,392건으로 27% 감소했다.
교통사고 건수 역시 2023년 1,070건에서 2024년 732건으로 32%나 줄었다. 버스 노선 운영 분야에서는 운행 횟수 준수율이 88%에서 99%로 11%p, 막차 시간 준수율은 84%에서 89%로 5%p 증가하는 등 버스 정시성이 크게 향상됐다.
도는 이 같은 성과가 공공관리제 시행으로 버스 안전 관리가 강화되고, 운전자 법규 위반 행위와 도민 불편 요인이 크게 감소한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경기도가 지난해 1월부터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1년간 시행한 결과, 민원과 교통사고 건수가 감소하고 운행횟수와 막차시간 준수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기도는 현재 339개 노선 2,255대를 공공관리제로 시행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도내 시내버스 1,649개 노선 6,187대 전체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박노극 경기도 교통국장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 이후 버스 서비스 질이 대폭 개선됐다"며 "앞으로도 운송 비용 절감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성 확보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