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 등 인터넷전문은행들이 2년 후인 오는 2023년까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금융위윈회와 함께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 등은 27일 인터넷전문은행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금융위가 나선 건 당초 인터넷 전문은행 사업 허가를 내준 취지 가운데 하나인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확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은 금융산업의 경쟁과 혁신을 촉진하고 금융소비자 편익을 증대하기 위해 지난 2017년 도입됐으며, 지난해 말 기준 대출규모가 23조3000억 원 수준까지 오르는 등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말 중·저신용자(KCB 기준 신용등급 4등급 이하) 신용대출 비중은 카카오뱅크가 10.2%, 케이뱅크가 21.4%다. 두 회사의 평균치는 12.1%인데 은행 전체 평균 24.2%의 절반 수준이다.
이에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이러한 지적을 받아들여 정부와 협의를 통해 이번 개선계획을 마련했다.
인터넷전문은행별로 살펴보면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말 10.2%에 불과한 중·저신용자 비중을 올해 20.8%, 내년 25%, 오는 2023년말까지 30%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는 증자가 완료되고 지난해 7월 도입한 신규 CSS가 안정화되는 내년부터 중·저신용자 비중을 적극 확대한다. 내년 말 25%, 2023년 말 32%까지 늘릴 계획을 밝혔다.
현재 본인가 심사 중인 토스뱅크는 영업 첫해인 올해 말부터 중·저신용자 비중을 34.9%로 설정했다. 내년엔 42%, 2023년 말까지 44%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의 계획 이행을 위해 은행별 중저신용자 대출 이행현황을 8월부터 분기별로 비교 공시할 예정이다. 금융당국도 분기별로 이행 현황을 직접 점검해 결과를 공개하고 필요하면 개선을 권고한다.